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홍역 예방접종 시기

토픽셀프 2020. 1. 14. 15:01

홍역 예방접종 시기

홍역 예방접종 시기

안녕하세요. 홍역 예방접종 시기에 대해서 설명해드리려고 합니다. 홍역은 전염성이 매우 높은 질환이자 발열과 기침, 콧물, 결막염 등을 동반하며 특징적인 구강 점막 반점이나 피부 발진 등의 증상을 일으키는 질병이라고 합니다. 면역력이 없는 유아부터 성인까지 걸릴 수 있는 병이기에, 미리미리 예방접종을 맞고 예방해야 되는데요. 그래서 홍역 초기 증상과 예방접종 시기에 대해서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추가적으로 홍역 예방접종 가격에 대한 내용도 설명해드릴텐데요. 이 내용에 대해 조금이라도 알고 계셨거나 생소하셨던 분 모두 관심있게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시작할께요. 먼저 홍역은 우리나라에서 제2군 법정 전염병으로 분류되어 있는 질병입니다. RNA 바이러스에 의해 전염되며 특징적인 발진을 동반하는 호흡기 감염 질환 중 하나라고 하는데요. 일반적으로 홍역은 1~2세 유아에 많은 감염을 일으킨다고 합니다. 열과 전신에 생기는 급성 전염병인데요. 이염이나 폐렴의 합병증 등 2차 감염이 생기기도 합니다.

홍역 예방접종 시기

또한 홍역은 전염성이 강해서 접촉자의 90% 이상이 발생하며, 발열이나 콧물, 결막염, 홍반성 반점, 구진이 복합적으로 나타나고 질병 특유의 점막진을 특징으로 하는데요. 한번 걸린 후 회복되면 평생 면역을 얻게 되어 다시 걸리지 않기에, 무증상 감염은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홍역 예방접종 시기

그렇다면 홍역 초기증상은 어떻게 나타날까요? 잠복기는 10~12일이며, 전구기와 발진기로 나뉠 수 있습니다. 우선 전구기는 전염력이 강한 시기로, 3~5일간 지속되는데요. 이 때는 38도 이상의 발열과 기침, 콧물, 결막염, 특징적인 구강 내 병변 등이 나타난다고 합니다. 결막염은 코플릭 반점이 출현하기 전에 나타나는데요. 이어 1~2일 만에 발진이 일어난다고 합니다.

홍역 예방접종 시기

코플릭 반점은 진단적 가치가 있다고 하며, 첫째 아랫니 맞은 편 구강 점막에 충혈된 반점이 나타난다고 하는데요. 작은 점막으로 둘러싸인 회백색의 모래알 크기의 작은 반점이라고 하며 12~18시간 이내에 소실된다고 합니다.

홍역 예방접종 시기

그 후 발진기에는 코플릭 반점이 나타나면서 1~2일 후에 시작을 하는데요. 홍반성 구진성 발진(비수포성)이 목 뒤나 귀 아래 또는 이마의 머리선 및 뺨 뒤쪽에서 시작하여 첫 24시간 이내에는 얼굴과 목, 팔과 몸통 위쪽으로 퍼진다고 합니다. 2일째에는 대퇴부 주변으로 퍼지는데요. 3일째에는 발까지 퍼진다고 합니다. 손바닥과 발바닥에도 발진이 생기는 경우가 있으나 이러한 경우는 드물다고 하는데요.

홍역 예방접종 시기

발진은 3일 이상 지속되며, 발진이 나타난 후 2~3일 간 38도 이상의 고열과 함께 콧물, 기침이 점점 심해져 발진이 가장 심할 때 최고조에 달한다고 합니다. 또한 24~36시간 이내에 열이 내려가고 기침도 적어지면서 발진이 나타났던 순서대로 색소 침착과 함께 소실되며, 갈색을 띠게 되고 작은 겨 껍질 모양으로 벗겨지면서 7~10일 이내에 소실된다고 하는데요. 이 시기에 합병증이 잘 생길 수도 있다고 하니, 조심하시는게 좋겠습니다.

홍역 예방접종 시기

또한 발진은 병의 심한 정도에 따라 범위와 융합의 정도가 다르며 출혈반, 광범위 익혈반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고 하는데요. 그 밖에도 경부 림프절 비대, 코 비대, 복통을 동반하는 장간막 림프절증, 맹장염 증상이 동반될 수 있으며, 영유아는 중이염이나 기관지 폐렴, 설사 및 구토 등의 위장관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고 합니다.

홍역 예방접종 시기

그렇다면 홍역 예방접종 시기와 가격은 어떻게 알 수 있나요? 우선 홍역 예방접종 시기는 생후 12~15개월된 유아와 만 4~6세의 유아가 각각 1회씩 접종하면 되는데요. 이러한 경우는 드물지만 접종 후 통증이나 두통, 발열, 발진, 관절통, 일시적인 혈소판 감소증 등 이상 반응과 뇌염, 뇌신경마비 등 신경학적 이상 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고 합니다. 재접종 때는 최초 접종했을 때와 비슷하나, 대부분 면역 상태에 있기 때문에 이상반응의 발생 빈도는 낮다고 하네요.

홍역 예방접종 시기

질병관리본부에 의하면, 홍역 예방접종 시기 및 홍역 예방접종 상황별 기준을 밝혔습니다. 원칙적으로 생후 12~15개월과 만 4~6세의 유아가 기준이 되는데요. 그러나 홍역 유행 지역 거주자는 생후 6~11개월과 생후 13개월~47개월에 거쳐 1차 및 2차 접종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홍역 예방접종 시기

또한 유아 이외에 홍역 예방접종을 필요로 하시는 분도 계실텐데요. 아쉽게도 임신부와 면역저하자는 예방 접종이 불가하다고 합니다.

홍역 예방접종 시기

반면에 가족 중 홍역 환자가 있는 경우, 의사와 상의 후 접종이 가능하다고 하는데요. 성인은 유료이나 만 12세 이하의 어린이는 무료이기에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홍역 예방접종 시기

그리고 2019년 1월 기준 홍역 유행 국가는 필리핀, 베트남, 태국, 그리스, 프랑스, 이탈리아, 루마니아, 우크라이나, 러시아, 이스라엘, 중국, 말레이시아, 일본, 대만 등이 있다고 하는데요. 홍역이 유행함에 따라 발생 지역 여행자 중 MMR 미접종자와 면역력이 저하된 사람이 홍역에 걸릴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고 합니다.

홍역 예방접종 시기

그렇기에 해당 지역 국가 여행을 앞두고 있거나 그럴 마음이 있으시다면 반드시 이 내용을 알고 계시는게 좋은데요. 출국 4~6주 전이나 최소 1달 간격을 두고 2회 모두 예방접종을 먼저 맞으신 후 여행계획을 세우시는 것을 권장하고 있으며, 더 안전하다고 보고 있다 합니다.

홍역 예방접종 시기

그 다음 홍역 예방접종의 가격은 국가 지원으로, 총 3회 모두 비용을 지원받을 수 있는데요. 만 12세 이하 어린이가 홍역 예방접종 가격에 무관하게 무료 접종이 가능합니다. 만 1세 이하의 유아가 MMR 백신을 접종했어도, 생후 12~15개월과 만 4~6세에 MMR 백신을 접종해야 한다네요.

홍역 예방접종 시기

참고로 유료 홍역 예방접종 가격은 2만 5천원~3만원 정도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만약 영유아시기에 MMR 백신을 2번 모두 맞았다면 더 이상 추가접종이 필요하지는 않는데요.

홍역 예방접종 시기

다만 국가예방접종이 무료가 된 것은 1983년 부터 이지만, 두 차례 모두 무료가 되기 시작한 것은 1997년 부터라고 합니다. 그렇기에 20대와 30대가 예방접종을 한 번만 맞은 경우가 적지 않다고 하는데요. 40대 이상은 대부분 홍역을 앓아 대체로 면역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합니다. 이 점 참고하여 아직 예방접종을 하지 않으신 분들은 사전에 꼭 맞으시길 바랄께요.

홍역 예방접종 시기

지금까지 홍역 초기 증상과 예방접종 시기 정리에 대해서 모두 소개해드렸습니다. 추가적으로 홍역 예방접종 가격에 대해서도 설명해드렸는데요. 여러분들은 도움이 되셨는지 모르겠습니다.

홍역 예방접종 시기

홍역이 보통 어린 유아들에게서 발생할 수 있는 질병이지만, 최근 어떤 성인에게서 홍역이 일어나 포털사이트에서 검색어로 뜬 적이 있었는데요. 감염성이 높고 빠르게 퍼지는 질병인 만큼, 면역력이 낮을 수록 걸리기 쉽게 때문에 미리 예방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홍역 예방접종 시기

홍역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비누를 사용하여 30초 동안 손을 자주 씻거나, 휴지나 옷 소매 등으로 입과 코를 가리는 기침예절을 유아부터 어린이, 성인까지 모두 준수하는게 좋다고 하는데요. 또한 홍역 의심증상이 있으면, 마스크를 착용하고 대중교통은 이용하지 말아야 합니다. 또 가까운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먼저 받아봐야 하는데요.

홍역 예방접종 시기

유아 및 어린이는 혹시나 교내에서 홍역 의심환자가 발생하면, 즉시 교사에게 알려 곧바로 가까운 병원을 방문해야 됩니다. 그리고 홍역 집단유행을 막기 위해 홍역 환자는 발진 발생 후 4일까지 학교 및 학원에 절대 가지 않아야 하며, 다른 사람에게 전파되지 않게 주의해야 하는데요.

홍역 예방접종 시기

홍역에 관심을 가진 후 사전 예방접종에 적극적으로 나서며, 건강한 생활습관과 식습관, 몸을 깨끗하게 하는 청결함과 면역력을 강화하는게 홍역을 예방하는 방법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글의 내용이 유익하셨다면 아래 공감버튼을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from http://myable.tistory.com/65 by ccl(A)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