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중국 전기오토바이·전기자전거 시장동향

[유망] 중국 전기오토바이·전기자전거 시장동향

- 전기오토바이, 전기자전거 소비대국 -

- 전기오토바이 시장 '주행능력·안전성·가격'이 관건 -

□ 상품명 및 HS Code

ㅇ 상품명: 모터사이클과 보조모터를 갖춘 자전거(HS Code 8711901000)

□ 선정 이유

ㅇ 전기오토바이, 전기자전거 소비 대국 중국

- 전기오토바이, 전기자전거(삼륜 포함)의 2016년 보유량은 약 2억8000만 대로, 중국 총 인구의 약 20%가 전기오토바이·전기자전거를 소유하고 있음.

- 중국의 전기오토바이 소비량은 전 세계 90%를 차지하며, 노인인구 및 자전거 출근족의 증가로 사용 연령층이 확대되고 있음.

ㅇ 높아진 환경오염 문제에 대한 의식수준과 공유경제의 바람으로 확대되는 전기오토바이·전기자전거 수요

- 전기오토바이 소비자의 경우 주행능력, 안전성, 가격을 최우선 고려 대상으로 꼽았고 전기자전거 소비시장은 현재 스마트화, 개성화, 경량화 바람이 불고있음. 이에 우리 기업도 수요맞춤형 제품 개발을 통해 중국 시장 진출을 노려볼 만함.

□ 중국 전기오토바이, 전기자전거 최근 동향

ㅇ 중국 전기오토바이 시장 동향

- 최근 3년간 중국 전기오토바이 판매량은 2800만~3000만 대로 2015년 이륜 오토바이는 2200만 대, 삼륜 오토바이는 800만 대 판매됐음.

- 전기오토바이 보유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삼륜오토바이가 안정성을 강점으로 최근 각광받고 있음.

ㅇ 중국 전기자전거 생산 현황

- 2013년까지 중국 전기자전거 생산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했으나 2014년 첫 생산량 감소 이후 최근 3년간 생산량은 3000만 대 이상을 유지 중임.

- 2015년 기준 총생산량은 3257만 대로 산둥성, 허난성, 저장성, 장쑤성 순으로 생산량이 많음.

- 전기자전거 초기 제조 지역인 톈진은 직할시 중 생산량이 가장 많은 도시이며, 전기자전거 중에서도 운전대 부분의 크기가 작은 간이형 전기자전거를 생산하는 업체들이 많음.

□ 대한 수출입 현황

ㅇ 모터사이클과 보조모터를 갖춘 자전거(HS Code 8711901000): 기본세율 45%

ㅇ 해당 품목의 중국-한국 간 무역액 추이를 살펴보면 수출은 대체로 꾸준히 증가했으나 수입은 불규칙한 양상을 보이고 있음.

- 2009년, 2010년, 2013년, 2014년에는 각각 2000달러, 1000달러, 1만 달러, 15만3000달러였으나 그 외에는 수입이 거의 없었음.

□ 수입 동향

ㅇ 10년간 중국의 전기오토바이 및 전기자전거 수입은 대체로 꾸준히 증가했으나 수입액은 수출액에 비해 매우 미미한 수준임.

ㅇ 최근 5년간 꾸준히 상위 10위권에 랭크된 국가는 미국, 독일, 대만 3개 국가였음.

- 독일과 미국은 각각 2015년 296만8725달러, 2013년 51만4563달러로 최고치를 달성함.

- 대만은 2012년 6631달러, 2013년 1만4154달러, 2014년 9만259달러, 2015년 9만1504달러, 2016년 9만4105달러로 꾸준히 성장하고 있음.

ㅇ 한국은 2013년 10위권에 진입해 2014년 2위로 급격히 성장했으나, 2015년 6위에서 2016년에는 10위권 밖으로 벗어남.

□ 경쟁동향

ㅇ 중국 국내 주요 기업 동향

- 야디(雅迪)와 아이마(爱玛)는 중국 내에서 1, 2위를 다투는 대표 브랜드로, 2016년 전체 판매량의 30%를 차지함.

- 2016년, 중국 10대 브랜드의 전체 시장점유율은 63%이며, 연 판매량 100위안 이상 브랜드도 점점 증가하고 있음.

ㅇ 중국 진출 해외 기업 동향

- 중국에서 유통되는 해외브랜드 제품 대부분이 중국 생산 제품이었음.

□ HS Code 및 관세율, 인증서

ㅇ HS Code 및 관세율

- 모터사이클과 보조모터를 갖춘 자전거(HS Code 871190): 기본세율 45%

· 한-중 FTA 관세 혜택에 해당하지 않는 품목임.

ㅇ 인증서

- 중국강제인증제도(CCC: China Compulsory Certification)

· 전기오토바이 및 전기자전거 는 CCC 마크를 반드시 획득해야 함. 인증을 받지 못한 경우 제품 통관 불가, 중국 내 생산 불가 및 벌금(최고 480만 원) 부과

□ 시사점 및 진출전략

ㅇ 전기오토바이의 강점과 공유시장 발달로 전기오토바이 및 전기자전거 시장은 확대될 전망임.

- 전기오토바이의 강점

· (저렴한 가격) 엔진을 이용한 교통수단에 비해 2000~3000위안으로 비교적 저렴함.

· (저소음, 무공해) 전기 배터리 사용으로 낮은 소음, 대기오염이 발생하지 않음.

· (충전 용이) 탈착 가능 배터리 혹은 어댑터로 어디서든 콘센트를 꼽으면 충전이 가능함.

· (낮은 유지비용) 1회 완충 5~8시간 사용 가능, 배터리 교체 기간이 1~2년으로 긺.

- 공유시장 발달

· 자전거부터 오토바이, 자동차, 보조배터리, 숙박, 우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공유 시장이 확대되고 있음.

· 이에 따라, 공유 서비스 업체의 전기오토바이 및 전기자전거에 대한 수요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됨.

ㅇ 전기오토바이 소비자가 가장 크게 고려하는 사항은 '주행능력·안전성·가격'임.

- 주행능력

· (연속 주행 가능 거리) 생활반경이 확대되면서 1회 충전만으로 먼 곳까지 주행 가능한 제품을 요구하고 있음.

· (순간 가속 능력) 속도 제한 정책으로 최고 속도에 대한 규제가 있으나 남보다 뒤쳐지는 것은 싫어하기 때문임.

· (안정성 유지 능력) 감속 시에도 차체 진동이 없는 높은 안정성을 가진 제품을 선호함.

· (급제동 능력) 갑자기 벌어질 수 있는 사고 등에 대비하기 위해 그 어떤 상황에서도 급제동 가능한 제품을 선호함.

- 안전성

· (도난 방지 기능) 전동차 배터리 도난이 빈번히 발생하면서, 추적 가능한 GPS나 기타 잠금장치에 대한 요구수준도 높아짐.

· 수입관세가 높아 직접적인 완제품 수입이 어려운 만큼 중국 현지 생산라인 구축으로 가격 경쟁력을 강화시킬 수 있음.

ㅇ 스마트화, 개성화, 경량화 바람 부는 중국 전기자전거 시장

- 기본적인 기능을 갖춘 전기자전거로는 경쟁력을 갖추기 어려우며, 새로운 기능을 접목한 제품이 중국에서 출시되고 있음.

· 미국 브랜드 爱尔威(airwheel)는 최근 중국에서 다이어트 코칭 전기자전거를 출시했음.

- 1980~1990년대 출생의 젊은 여성 및 자전거 출근족의 전기자전거 이용증가로, 세련되고 고급스러운 디자인을 내세운 시장 공략이 필요함.

- 소비자의 경량화에 대한 높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앞으로 가벼운 리튬전지가 기존 납축전지를 대체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리튬전지 기반의 전기자전거로 진출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함.

· 현재 유통되고 있는 경량 전기자전거의 무게는 15~20kg 정도임.

[코트라(KOTRA) 2017년 7월 7일 내용 발췌]

from http://freshyk.tistory.com/1287 by ccl(A)

댓글